http://www.zoglo.net/blog/jin9801 블로그홈 | 로그인
달동네

※ 댓글

  •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 -> 좋은글 -> 펌글

나의카테고리 : 좋은 글

道德经도덕경
2020년 08월 08일 20시 13분  조회:1135  추천:0  작성자: 꿀벌
                    
                                                            道德经도덕경

31.
夫佳兵者(부가병자) : 훌륭하다는 무기는
不祥之器(불상지기) : 상서롭지 못한 물건
物或惡之(물혹악지) : 사람이 모두 싫어한다
故有道者不處(고유도자불처) : 그러므로 도의 사람은 이런 것에 집착하지 않는다
君子居則貴左(군자거즉귀좌) : 군자가 평소에는 왼쪽을 귀히 여기고
用兵則貴右(용병즉귀우) : 용병 때는 오른쪽을 귀히 여긴다
兵者不祥之器(병자불상지기) :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물건
非君子之器(비군자지기) : 군자가 쓸 것이 못 된다
不得已而用之(불득이이용지) : 할 수 없이 써야 할 경우
恬淡爲上(념담위상) : 조용함과 담담함을 으뜸으로 여기고
勝而不美(승이불미) : 승리하더라도 이를 미화하지 않는다
而美之者(이미지자) : 이를 미화한다는 것은
是樂殺人(시락살인) : 살인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夫樂殺人者(부락살인자) : 살인을 즐거워하는 사람은
則不可得志於天下矣(즉불가득지어천하의) : 세상에서 큰 뜻을 펼 수 없다
吉事尙左(길사상좌) : 길한 일이 있을 때는 왼쪽을 높이고
凶事尙右(흉사상우) : 흉한 일이 있을 때는 오른쪽을 높인다
偏將軍居左(편장군거좌) : 둘째로 높은 장군은 왼쪽에 위치하고
上將軍居右(상장군거우) : 제일 높은 장군은 오른쪽에 위치한다
言以喪禮處之(언이상례처지) : 이는 상례로 처리하는 까닭이다
殺人之衆(살인지중) : 많은 사람을 살상하였으면
以哀悲泣之(이애비읍지) : 이를 애도하는 것
戰勝以喪禮處之(전승이상례처지) : 전쟁에서 승리하더라도 이를 상례로 처리해야 한다
 
32.
道常無名(도상무명) : <도>는 영원한 실재 이름 붙일 수 없는 무엇인데
樸雖小(박수소) : 다듬지 않은 통나무처럼 비록 보잘것 없어 보이지만
天下莫能臣也(천하막능신야) : 이를 다스릴 자 세상에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 임금이나 제후가 이를 지킬 줄 알면
萬物將自賓(만물장자빈) : 모든 것이 저절로 순복할 것이요
天地相合(천지상합) : 하늘과 땅이 서로 합하여
以降甘露(이강감로) : 감로를 내릴 것이요
民莫之令而自均(민막지령이자균) : 명령하지 않아도 백성이 스스로 고르게 될 것이다
始制有名(시제유명) : 다듬지 않은 통나무가 마름질을 당하면
名亦旣有(명역기유) : 이름이 생깁니다
夫亦將知止(부역장지지) : 이름이 생기면 멀출 줄도 알아야 한다
知止可以不殆(지지가이불태) : 멈출 줄을 알면 위태롭지 않는다
譬道之在天下(비도지재천하) : 이를테면 세상이 도로 돌아감은
猶川谷之於江海(유천곡지어강해) : 마치 개천과 계곡의 물이 강이나 바다로 흘러듦과 같다
 
33.
知人者智(지인자지) : 남을 아는 것이 지혜라면
自知者明(자지자명) : 자기를 아는 것은 밝음이다
勝人者有力(승인자유력) : 남을 이김이 힘있음이라면
自勝者强(자승자강) : 자기를 이김은 정말로 강함이다
知足者富(지족자부) : 족하기를 아는 것이 부함이다
强行者有志(강행자유지) : 강행하는 것이 뜻있음이다
不失其所者久(불실기소자구) : 제자리를 잃지 않음이 영원이다
死而不亡者壽(사이불망자수) : 죽으나 멸망하지 않는 것이 수를 누리는 것이다
 
34.
大道氾兮(대도범혜) : 큰 도가 넘쳐 있음이여
其可左右(기가좌우) : 이쪽 저쪽 어디에나
萬物恃之而生而不辭(만물시지이생이불사) : 온갖 것이 이에 의지하고 살아 가더라도 이를 마다하지 않고
功成不名有(공성불명유) : 일을 이루고도 자기 이름을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衣養萬物而不爲主(의양만물이불위주) : 온갖 것 옷입히고 먹이나 그 주인 노릇하려 하지 않는다
常無欲(상무욕) : 언제나 욕심이 없으니
可名於小(가명어소) : 이름하여 <작음>이라 하겠다
萬物歸焉(만물귀언) : 온갖 것 다 모여드나
而不爲主(이불위주) : 주인 노릇하려 하지 않으니
可名爲大(가명위대) : 이름하여 <큼>이라 하겠다
以其終不自爲大(이기종불자위대) : 그러므로 성인은 스스로 위대하다고 하지 않는다
故能成其大(고능성기대) : 그러기에 위대한 일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35.
執大象(집대상) : 위대한 형상을 굳게 잡으십시오
天下往(천하왕) : 세상이 모두 그대에게 모여들 것이다
往而不害(왕이불해) : 그대에게 모여들어 해받음이 없을 것이다
安平太(안평태) : 오직 안온함과 평온함과 평화만이 깃들 것이다
樂與餌(락여이) : 음악이나 별미로는
過客止(과객지) : 지나는 사람 잠시 머물게 할 수 있으나
道之出口(도지출구) : 도에 대한 말은
淡乎其無味(담호기무미) : 담박하여 별맛이 없다
視之不足見(시지불족견) : 도는 보아도 보이지 않고
聽之不足聞(청지불족문) :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用之不足旣(용지불족기) : 써도 다함이 없다
 
36.
將欲?之(장욕흡지) : 오므리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 일단 펴야 한다
將欲弱之(장욕약지) : 약하게 하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 일단 강하게 해야 한다
將欲廢之(장욕폐지) : 폐하게 하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 일단 흥하게 해야 한다
將欲奪之(장욕탈지) : 빼앗으려면
必固與之(필고여지) : 일단 줘야 한다
是謂微明(시위미명) : 이것을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깁니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 물고기가 연못에서 나와서는 안됨같이
國之利器(국지리기) : 나라의 날카로운 무기도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 :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37.
道常無爲而無不爲(도상무위이무불위) : 도는 언제든지 억지로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 된 것이 없다
侯王若能守之(후왕약능수지) : 임금이나 제후가 이를 지키면
萬物將自化(만물장자화) : 온갖 것 저절로 달라집니다
化而欲作(화이욕작) : 저절로 달라지는데도 무슨 일을 하려는 욕심이 생기면
吾將鎭之以無名之樸(오장진지이무명지박) : 이름없는 통나무로 이를 누른다
無名之樸(무명지박) : 이름없는 통나무로
夫亦將無欲(부역장무욕) : 욕심을 없애노니
不欲以靜(불욕이정) : 욕심이 없으면 고요가 찾아들고
天下將自定(천하장자정) : 온누리에 평화가 깃들 것이다
 
38.
上德不德(상덕불덕) : 훌륭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하지 않는다
是以有德(시이유덕) : 그러기에 정말로 덕이 있는 사람이다
下德不失德(하덕불실덕) : 훌륭하지 못한 덕의 사람은 자기의 덕을 의식한다
是以無德(시이무덕) : 그러기에 정말로 덕이 없는 사람이다
上德無爲而無以爲(상덕무위이무이위) : 훌륭한 덕의 사람은 억지로 일을 하지 않으니 억지로 일을
할 까닭이 없다
下德爲之而有以爲(하덕위지이유이위) : 훌륭하지 못한 덕의 사람은 억지로 일을 하나니 억지로 일을
할 까닭이 많다
上仁爲之而有以爲(상인위지이유이위) : 훌륭한 인의 사람은 억지로 일을 하나니 억지로 일을
할 까닭이 있다
上義爲之而有以爲(상의위지이유이위) : 훌륭한 의의 사람은 억지로 일을 하나니 억지로 일을
할 까닭이 많다
上禮爲之而莫之應(상례위지이막지응) : 훌륭한 예의 사람은 억지로 일을 하나니
그러나 아무도 응하지 않기에
則攘臂而?之(즉양비이잉지) : 소매를 걷고 남에게 강요한다
故失道而後德(고실도이후덕) : 도가 없어지면 덕이 나타나고
失德而後仁(실덕이후인) : 덕이 없어지면 인이 나타나고
失仁而後義(실인이후의) : 인이 없어지면 의가 나타나고
失義而後禮(실의이후례) : 의가 없어지면 예가 나타난다
夫禮者(부례자) : 예는
忠信之薄(충신지박) : 충성과 신의의 얄팍한 껍질이며
而亂之首(이란지수) : 혼란의 시작이다
前識者(전식자) : 앞을 내다보는 것은
道之華(도지화) : 도의 꽃이며
而愚之始(이우지시) : 어리석음의 시작이다
是以大丈夫處其厚(시이대장부처기후) : 그러므로 성숙한 사람은 두꺼운 데 머무르고
不居其薄(불거기박) : 얄팍한 데 거하지 않는다
處其實(처기실) : 열매에 머무르고
不居其華(불거기화) : 꽃에 거하지 않는다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 후자는 버리고 전자를 택한다
 
39.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谷得一以盈(곡득일이영) :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 가득하고
萬物得一以生(만물득일이생) : 온갖 것 하나를 얻어 자라나고
侯王得一以爲天下貞(후왕득일이위천하정) : 왕과 제후는 하나를 얻어 세상의 어른이 되고
其致之(기치지) : 이 모두가 하나의 덕이다
天無以淸(천무이청) : 하늘은 그것을 맑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裂(장공렬) : 갈라질 것이고
地無以寧(지무이녕) : 땅은 그것을 편안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發(장공발) : 흔들릴 것이고
神無以靈(신무이령) : 신은 그것을 영묘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歇(장공헐) : 시들 것이고
谷無以盈(곡무이영) : 골짜기는 그것을 가득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竭(장공갈) : 마를 것이고
萬物無以生(만물무이생) : 온갖 것 그것을 자라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滅(장공멸) : 없어져 버릴 것이고
侯王無以貴高(후왕무이귀고) : 왕과 제후는 그들을 어른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蹶(장공궐) : 넘어질 것이다
故貴以賤爲本(고귀이천위본) : 그러므로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하고
高以下爲基(고이하위기) :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바탕으로 한다
是以後王自謂孤(시이후왕자위고) : 이런 까닭으로 왕과 제후는 스스로를 <고아 같은 사람>,
寡不穀(과불곡) : <짝잃은 사람>, <보잘 것없는 사람'이라 부른다
此非以賤爲本邪非乎(차비이천위본사비호) : 이것이 바로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 아니겠는가
故致數輿無輿(고치수여무여) :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니다
不欲??如玉(불욕록록여옥) :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 하지 말고
珞珞如石(락락여석) :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내시오
 
40.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 되돌아 감이 도의 움직임이다
弱者道之用(약자도지용) : 약함이 도의 쓰임이다
天下萬物生於有(천하만물생어유) : 온 세상 모든 것은 <있음>에서 생겨나고
有生於無(유생어무) : 있음은 <없음>에서 생겨났다

 

파일 [ 40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0 오곡밥의 유래 2022-02-17 0 853
29 명태 2021-02-03 0 793
28 女人的优雅从何而来 2021-02-03 0 1667
27 우리 말 이야기 속담 2021-02-03 0 2978
26 엄동설한의 생화 2021-01-16 0 921
25 혼의 노래 2020-12-26 0 1082
24 다시 보는 세상 2020-11-08 0 680
23 가는 정 오는 정 2020-11-08 0 679
22 道德经도덕경 2020-10-24 0 1177
21 道德经도덕경 2020-10-24 0 842
20 백양나무의 생 2020-09-02 0 787
19 道德经도덕경 2020-09-02 0 1490
18 道德经도덕경 2020-08-12 0 830
17 道德经도덕경 2020-08-08 0 1135
16 道德经도덕경 2020-08-04 0 957
15 道德经도덕경 2020-08-02 0 1258
14 道德经도덕경 2020-07-31 0 1201
13 도덕경 삶의 경계를 넘는 통찰 2020-07-31 0 1040
12 中国人不可破的10条天规 2020-07-31 0 1204
11 余生,做好自己,不解释! 2020-07-31 0 1183
‹처음  이전 1 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