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갑
http://www.zoglo.net/blog/zhengrenjia 블로그홈 | 로그인
<< 5월 2024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

우리 겨레의 디아스포라
2012년 12월 30일 21시 26분  조회:10912  추천:6  작성자: 정인갑
“디아스포라”는 한 민족 집단이 본토를 떠나 다른 나라에 흩어져 뿌리를 내리고 산다는 민족이산의 의미이다. 1세기 때 이스라엘이 망하면서 수많은 유대인이 세계로 흩어진 것이 방대한 디아스포라의 예이겠다.

2,000여 년간 우리 겨레의 디아스포라를 대충 짐작해 보면 아래와 같다.

a, 기원전 108년 한(漢)이 고조선을 멸망하였을 때 많은 우리겨레가 중국내륙으로 확산되었을 것이다. b, 660년 백제가 망할 때 많은 백제 유민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의 상층귀족, 심지어 황족에 백제인의 피가 섞였다. c, 668년 고구려가 망할 때 20만 명의 고구려 유민이 중국으로 끌려갔다. 그중 일부는 말갈족과 함께 발해국을 세웠었다.

d, 임진왜란(1592~) 때 많은 조선인이 일본으로 끌려갔다. e,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때 청국으로 잡혀간 우리겨레가 60여 만이다. f, 한일합방이후 중국, 일본 등으로 확산된 우리겨레가 200만이 넘는다. g, 1960년대부터 한국인의 해외이민이 활발해졌고, 1990년대 이후는 글로벌화하며 많은 한국인이 해외로 진출하였으며, 그중 적지 않은 사람이 앞으로 진출국에 뿌리를 내리고 살 것으로 짐작된다.

2,000여 년간에 형성된 우리 겨레 디아스포라의 후손을 통계하면 2,000만 명도 넘을 것이다. 이들의 역사는 우리 겨레의 민족사(국사와는 구별됨)의 소홀히 할 수 없는 조성부분이다. 그러나 지금 이에 대한 연구가 결여되어 있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다행히 일본과 중국에서 외교관 활동을 한 유주열(柳洲烈 전 나고야 및 베이징 총영사)선생이 진지한 연구를 하고 있는데 재일본 조선인 후예 박무덕(朴茂德)이 그 사람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납치돼 간 조선인 중 기술자들은 전쟁 후 쇄환되어오지 못했다. 특히 일본의 남쪽 가고시마(鹿兒島) 근처로 납치 이주된 전라도 남원 陶工들이 그의 예이다. 당시 가고시마 영주는 도공들이 조선의 백자를 만들 수 있도록 최대의 배려를 하였다. 조선의 이름, 집, 음식, 복식, 사당 등을 보존토록 하여주었다. 기술 유출을 우려하여 외부와 격리, 고립시키고 마을 내 조선인끼리만 통혼토록 하였다. 수백 년간 철저히 관리한 결과 가고시마의 사츠마(薩摩) 도자기는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명치유신이 지방 영주(大名)제를 폐지되고 중앙집권제를 실행하자 상기 조선인 도공촌이 해체되었다. 도공의 자녀들도 도공직을 세습하지 않고 능력에 따라 일본 사회에 진출하게 된다. 조선도공 박수성(朴壽勝)은 성(姓)을 일본士族(양반) 성 도고(東鄕)라 고치고 5살(1887생) 난 아들 朴茂德을 東鄕茂德(도고시게노리)라 이름을 지어주었다.

도고시게노리는 東京帝國大學 독문과를 졸업하고 31살에(1913) 중국 奉天(沈陽)총영사관의 영사관보로, 1919년에 주독대사관에 부임하였다. 당시는 독일이 1차 대전에서 패배하여 해외식민지도 빼앗기고 전쟁 배상금지불을 위해 나라의 존위가 위태로운 때었다. 독일에서의 이러한 체험은 후에 2차 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에 활용되었다. 1945년 그는 外相의 신분으로 연합국의 포츠담선언을 받아들여야한다고 천황에게 건의한 사람이었다.

무덕은 베를린에서 근무하며 40세의 나이에 독일여인의 배우자를 얻었다. 그녀의 남편은 건축가 게오르그(Georg de Lalande)이다. 그는 당시 독일의 조차지였던 중국 청도(靑島)에서 일하다가 1901년 일본 고베에서 활약하며 많은 건축 작품을 남겼다. 과거 경복궁 일부를 헐어 지었던 조선총독부건물도 그가 설계한 것이다. 총독부는 게오르그가 폐질환으로 41세로 요절하는 바람에 그의 일본인 조수에 의해 후에 완성됐다.

1926년 박무덕 부부는 딸과 함께 워싱톤의 미국대사관에서 3년간 근무하고, 베를린의 독일대사관의 참사관으로 전임되었으며 3년 후 제네바의 군축기구 일본대표부의 사무국장을 거쳐 구미국장의 보임을 받아 외무성으로 귀임하였다(1933), 무덕은 능력을 인정받아 승승장구 주독일대사, 주소련대사를 거쳐 1941년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하는 해에 외상으로 발탁되었다. 그리고 1944년 4월 종전을 불과 몇 달 앞두고 두 번째로 외상을 맡는다. 일본의 패전후 극동재판소의 재판을 거쳐 전범으로 1950년 7월 도쿄 스가모 감옥에서 황달로 옥사하였다.

두 번째의 외상 재임 중 자신의 비서관 도고후미히코(東鄕文彦)를 도고 姓을 이어 받을 데릴사위로 삼는다. 도고후미히코는 나중에 주미대사와 외무차관이 된다. 아들 쌍둥이를 낳았는데 그중 하나가 외무성에 입부, 유럽-아시아국장이 되고 주화란 대사를 역임한 현재 교토 산업대의 도고가즈히코(東鄕和彦)교수다.

일본 사츠마 도자기의 창시자 조선인 도공 朴平意의 후손이 3대를 이어 일본의 고위 외교관으로 활약한 명문집안이 되었다. 이것이 우리 겨레 디아스포라의 빛나는 한 페이지다.

이상은 유주열(현재 한일 협력위원회 사무총장)선생의 강연(10.26)을 요약한 것이다. 유주열선생은 학자 형 외교관으로서 그가 근무하고 활약하는 지역(일본, 중국 등)에서 우리 겨레를 잊지 않고 겨레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며 많은 글을 집필 책으로도 발간하였다. 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성공사례이기도 한 박무덕의 사실을 소설화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고 하며, 또한 해외에 정착했거나 진출 현지에서 성공한 우리 겨레 100명의 사적을 수집, 정리할 욕망도 있다고 한다. 정말 존경스럽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2 ]

Total : 139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9 ‘광복’ 재조명 2012-11-10 9 6445
118 헛된 일 2012-11-03 3 7029
117 닭을 죽여 원숭이한테 보여주다(殺鷄給猴看) 2012-10-08 6 7076
116 ‘호적에 의한 국적 취득’ 질의 2012-08-26 2 14210
115 <"9.3"과 중국조선족> 재론 2012-08-19 11 7551
114 ‘9·3’과 중국조선족 2012-08-16 8 7437
113 탈북자 북송과 중국의 인권문제 2012-08-09 2 6569
112 해외동포들은 가승을 남겨놓자 2012-08-06 6 6058
111 중국 조선족 공동체 2012-08-01 1 5592
110 재중국 한국유학생의 매음 2012-07-31 2 9314
109 없는 자가 너덜대기는? 2012-07-24 12 6436
108 하늘이 무너지면 어쩌지? 2012-06-22 17 6620
107 우리겨레 무형문화재와 중국조선족 2012-06-08 37 8581
106 강릉 단오제와 중국 2012-05-27 23 6910
105 인간도 자연에 수동적인 존재 2012-05-13 5 5425
104 ‘박해문화’의 뿌리는 어디에? 2012-04-25 4 5823
103 조선의 한식절 2012-04-10 9 5469
102 재한 중국동포사회의 새로운 단계 2012-02-27 27 7304
101 ‘성폭행’, ‘성추행’ 2012-01-08 2 7219
100 한국어가 우리말의 표준어로 되려면 2011-12-05 8 798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