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hengyinwenahua 블로그홈 | 로그인
정음문화칼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

추석을 통해 보는 민속명절전승의 의미(허명철)
2017년 08월 30일 07시 57분  조회:1580  추천:0  작성자: 정음문화칼럼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자연기후조건이나 절기에 따라 특정한 날, 이를테면 1월 1일, 1월 15일, 5월 5일, 8월 15일 등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민속명절로 택하였다. 이날이 되면 색다른 음식을 장만하고 깨끗한 옷차림으로 하루를 즐겁게 보내는데 이렇게 정해진 명절날을 일명 민속명절 또는 세시풍습이라 한다. 전래되여온 세시풍습을 지키고 민속명절을 보내는것은 민족의 고유한 관습을 지키고 민족문화를 전승하는데 특별한 의미가 있다. 지역에 따라 이색적으로 행해지는 전통의식과 민속놀이는 지역공동체의 집단적상징으로 되기도 하고 공동체를 결속시키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민속명절과 민속놀이는 단순 취미적인 오락행위를 통한 생활의 활력소를 부여하는 역할뿐만아니라 놀이를 통해 사회적뉴대감을 표현하고 함께 즐기는 공동체의식을 돈독히 해왔으며 공동체소속이라는 정체성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물론 유교문화권에서 민속명절은 절기에 따라 대체로 같은 날로 정해져있지만 의식절차나 명절의 음식, 그리고 상징성을 띤 민속놀이 등은 각 민족 나름대로의 문화적 특징과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테면 추석날이 되면 조선족은 온 가족이 단란히 모이는 날, 공동체행사로 되여있지만 한족의 경우 산자만의 모임으로 되여있다. 하지만 조선족은 산자와 죽은자의 단란한 모임을 통해 가족성원으로서의 끈끈한 혈연적뉴대감을 유지하고 상부상조하는 문화를 표현한다. 즉 조상님들의 보살핌속에서 후손들이 한해 농사를 잘 지어 풍년을 맞이할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한해 햇곡식과 과일 등으로 차린 음식상을 조상에게 올림으로써 자식으로서의 지성을 표시한다.
 
  하지만 이주 초기 우리들에게 있어서 추석은 다른 모습이였다. 당시 여러가지 여건으로 해마다 추석이 되면 조선반도 고향땅에 묻혀있는 조상의 묘소를 찾아뵙지 못하는 죄책감, 년로하신 부모님들의 안부가 걱정되여 명절이란 기쁨보다 리산의 한이 어린 아픔의 날로 되였다. 이 땅에 정착한 력사가 2세, 3세에 들어서게 되면서 우리도 추석명절이 되면 전통적인 원형으로 돌아가 성묘도 하고 가족적인 명절의 하루를 보낼 수 있게 되였다.
 
  돌이켜보면 지난 세기 70년대 말까지만 해도 농촌마을공동체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추석은 말 그대로 동네 잔치날이기도 하였었다. 추석을 전후하여 마을단위 또는 공사단위로 운동회도 조직되였고 여러가지 전통 민속체육, 이를테면 그네뛰기, 널뛰기, 씨름 등 경기가 펼쳐졌고 민속명절을 넘어서 우리 문화를 전승하고 공동체의식을 강화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는 공동체의식을 키워가는 하나의 계기로 되였었다.
 
  지금 추석이 되면 우리민족은 조상의 묘소를 찾아뵙는것을 기본으로 하고있다. 물론 성묘에 필요한 전통 민속식품도 시장화되여있는 상황에서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도 집에서 만들기보다 시장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리고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가속화되고 농촌마을의 인구가 감소됨에 따라 과거처럼 마을단위로 축체행사를 만들지 못하고있고 대부분 가족에서도 가족대표가 성묘하는것으로 추석날을 보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추석명절의 고유한 정서나 상징적의미도 많이 소실되여가고있는 현상황에서 도시에서 우리는 나름대로의 공동체행사를 통한 추석명절의 전통을 재생할수 없을가. 우리의 전통을 지키고 추석명절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되살리고자 현존하는 동아리 또는 사회단체나 친목회를 주축으로 도시에서도 여러가지 명절행사를 만들수 있지 않을가. 가족이나 마을 공동체를 넘어서 우리민족 구성원들로 조직된 여러 단체나 친목회를 중심으로 도시주민들이 즐기고 참여할수 있는 행사를 펼쳐나간다면 이 또한 연변에서 중요한 특색 있는 민속관광자원으로 될수 있으며 조선족의 민속명절과 민속놀이를 홍보할수 있는 좋은 계기로 될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행사가 정례화된다면 민속놀이문화를 전승할수 있는 후비대오양성에도 유조하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강강수월래 같은것은 어른들이나 애들이나 광장에서 야외에서 모두 즐길수 있는것들이다. 뿐만아니라 국내외 관광객들도 쉽게 동참할수 있는것들이여서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수 있다고 보아진다.
 
  요약적으로 말한다면 우리는 현대적사회, 도시화의 삶의 공간속에서 전통민속 명절의 의미를 되살리면서 전승과 변용을 통해 민속명절과 놀이문화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야 한다. 현재 민족 명절과 놀이는 그 원형을 보존하고 원리와 성격을 드러내는것도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또 다른 사회적기능을 발굴하여 현대도시생활리듬에 맞게 재현하는것이 더욱 시급하다. 지금 도시화진척이 가속화되고 도시공간으로의 이주가 주류로 되고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전통적인 형식에서 탈피하여 도시공간에 적응할수 있는 새로운 명절양상과 놀이문화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전통을 어떻게 현대와 접목시켜 내용과 형식을 결합하여 전통적인 민속명절과 놀이문화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냐가 오늘의 과제인것 같다.

인민넷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2 연변주 부련회 제1임 주임 김찬해의 생애사를 통해 본 조선족 녀성해방 려정 2021-01-26 0 1181
141 왜 우리는 병 보이러 대도시로 떠나야만 하는가 2021-01-13 1 1200
140 조선족사회에 남성학(男性学)이 필요한 시점 2020-12-11 2 1252
139 녀성사회조직에서 녀성의 발전을 보다 2020-11-18 2 1222
138 방언과 지역문화 전승 2020-10-28 0 1202
137 글로벌 백신전쟁과 국제사회의 협력 2020-10-19 0 1303
136 신종코로나페염이 전하는 메시지(권진홍) 2020-08-24 1 1949
135 혁명화가 한락연선생을 기리며 2020-08-07 1 1671
134 중국의 농촌진흥전략정책에 대한 소고 2020-07-23 0 1623
133 전염병과 함께 발전해온 우리의 력사 2020-07-07 1 2058
132 산책자의 즐거움 전월매(천진사범대학교) 2020-06-26 2 1494
131 주문빈렬사를 기리며 리성일(중국사회과학원) 2020-06-15 0 746
130 포스트코로나시대를 맞이하는 우리는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가 2020-06-15 0 1425
129 신종코로나페염과 함께 나타난 ‘자숙경찰’ 2020-05-22 0 1533
128 전염병류행기간, 우리네 삶의 이야기(리화) 2020-05-07 0 1774
127 아침엽서에서 나를 만나다(김화선) 2020-05-04 0 1651
126 신종코로나페염 전염병상황과 속죄양(안성호) 2020-03-31 0 1860
125 바이러스와 대국이 벌리는 21세기형 인민전쟁(박광성) 2020-03-03 1 2038
124 2020년 중국경제 전망(김부용) 2020-02-03 0 1655
123 중한 량국의 경제 신협력에 대한 소고(김욱 ) 2019-12-24 3 221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