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지무나이(吉木乃) 통톈(通天)허 유적지 및 그 주변(자료사진). 4월10일, 중국문물신문사와 중국고고학회가 주최한 ‘2017년도 전국 10대 고고학 신발견’ 선정 결과가 베이징에서 발표되었다. (중국문물신문사 제공)
신장 지무나이(吉木乃) 통톈(通天)허 유적지에서 출토된 석제품들(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3441n.jpg)
산둥 장추(章丘) 자오자(焦家) 유적지 중의 대형 고분 M152(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4081n.jpg)
산둥 장추(章丘) 자오자(焦家) 유적지 중대형 고분에서 출토된 옥기 부장품(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4641n.jpg)
산시 가오링(高陵) 양관자이(楊官寨) 유적지 먀오디거우(廟底溝) 문화 묘지 발굴지역 항공 촬영(자료사진)
산시 가오링(高陵) 양관자이(楊官寨) 유적지에서 출토된 도기들(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5981n.jpg)
닝샤 펑양(彭陽) 야오허(姚河) 위안시(塬西) 주나라 유적지 중 말을 매장한 칼자루형 무덤(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6721n.jpg)
닝샤 펑양(彭陽) 야오허(姚河) 위안시(塬西) 주나라 유적지에서 출토된 수면문(獸面紋) 상아잔 파편(왼쪽)과 옥으로 된 봉황(오른쪽) (자료사진).
허난 신정(新鄭) 정한고성(鄭韓故城) 유적지 북성문(北城門) 항공촬영 사진(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8031n.jpg)
허난 신정(新鄭) 정한고성(鄭韓故城) 유적지 정나라 3호 거마갱(車馬坑) 전경(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8761n.jpg)
산시(陝西) 시안 진한 악양성 유적지 3호 고성 발굴 유적(자료사진).
![](http://kr.xinhuanet.com/2018-04/12/137102224_15235121909591n.jpg)
산시(陝西) 시안 진한 악양성 유적지에서 출토된 대형 반원통형 기와(자료사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