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신조선족》월경론
16. "구조"로서의 조선족 越境 (김문학)
2010년 07월 04일 08시 57분
조회:3542
추천:29
작성자: 김문학
《신조선족 》 월경론( 越境论) 16. "구조"로서의 조선족 越境 김문학 필자는 ‘ 移動 하는 고향 ’ 이란 표현을 즐겨 사용한다 . 사람들은 보통 고향을 하나의 고정된 ‘ 고착물 ’ 로서 고착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 그러나 고향을 떠나 ‘ 離 散 ’ 하여 他者 속에서 생활하는 越境人 들에게 있어서 고향 또한 移動 하는 고향이기도 하다 . 등진 고향이 아닌 타향에서 살다보면 고향으로 되는 법이다 . 필자는 ‘ 고향을 늘 포켓속에 넣고 다닌다 .’ 고도 표현하기도 하는 연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우리 민족에게는 타향살이 , 고향을 그리워하는 망향의 애수가곡이 무수히도 많은 것은 예로부터 고향을 떠나 경계를 넘어 살았다는 배경이 있는 까닭이리라 . ‘ 조선족 ’ 은 전형적 의미의 越境者 , 디아스포라의 사회다 . 그런데 개혁개방후 , 특히 1990 년대 이래 조선족의 고향을 떠난 타향의 越境 은 국내 연변 , 동북 3 성에서 관내로 , 연해도시로 , 해외로 이동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 또 다시 시작된 민족의 ‘ 大越境 ’ 이었다 . 국내 많은 지식인과 유지들은 이 대월경적 移動 에 대해 ‘ 민족집단공간의 해체 ’ 라는 네거티프한 우려를 자아내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 이 같은 목소리는 지극히 지당한 ‘ 민족위기 ’ 에 대한 우려이며 전조선족이 심사숙려의 과제이기도 하다 . 그런데 필자는 시점을 달리하여 보면 이것 자체가 네거티프한것만은 아닌것이라 보고 싶다 . 네거티브한 이미지와는 달리 포지티브하게 文化 모험을 감행하는 時代 적 조류이라면 그것을 단지 소극적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 우리가 이미 월경의 민족으로서 신월경으로 다시 새로운 복수의 文化 와 사회 , 공간에 소속하면서 그 모두와 어울리거나 거리를 둔채 여러 갈래의 價値觀 을 갖고 자유롭게 ‘ 경계 ’ 를 살아가는 라이프스타일은 고착된 ‘ 디아스포라 ’ 에 신선한 공기를 주입한것으로도 통한다 . 아니 새로운 삶의 경계를 재구 축한 그것이다 . 조선족의 구조적 특징의 하나가 ‘ 越境 이다 . 하다면 막을수 없는 역사적 흐름인 글러벌화세계에서 이 월경 역시 조선족의 구조를 재편성시킨 의미는 지대하다고 인식해야 할것이다 . 여기서 한가지 중요하나 자칫 간과하기 쉬운 비교지정학 및 비교마이너리티론적 상황을 짚고 넘어가야 할것이다 . 조선반도가 대륙과 해양세력에 끼인 틈새로서 역사적으로 늘 양대세륙의 발란스 불균형에서 오는 침습을 받았으며 그것은 지정학적 숙명으로 깊이 낙인되기도 했다 . 이 과정에서 반도의 선대들 역시 우왕좌왕하거나 스스로 또는 억압적으로 이동 , 월경을 택해왔다 . 이 같은 ‘ 월경 ’ 의 긴 역사를 조감하면 월경은 오늘날만 있은 것은 아니다 . 그런데 이런 월경의 간단없는 ‘ 레슨 ( 훈련 )’ 을 축적하여 근대 100 년전 월경을 통해 이룩한 우리 조선족은 이미 ‘ 월경 ’ 이 그 구조적 내실의 하나로 된것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 그래서 조선족의 구조는 역시 ‘ 월경적 구조 ’ 로 재편성되는것도 자연적이며 운명론적 시점을 투영시킨다면 그것은 불가피면적이라고도 할수 있다 . 이래서 필자가 말하려 하는 것은 조선족의 월경은 중국의 티벳 , 위글족 , 몽골족 , 묘족 … 55 개의 소수민족 , 마이너리티 사회에 비교하여 관찰해보면 아주 행운적이였다는 것이다 . 필자가 일본에서 또는 국내에서 만났던 티벳 , 몽골 , 위글 , 그리고 운남성에서 온소수민족 지식인들은 다 이구동성으로 ‘ 조선족들은 발달된 선진국 한국이란 조국이 있으니 국내 소수민족사회 , 지어 한족보다도 일찍 해외로 나가 부 ( 富 ) 를 입수할수 있었을뿐만아니라 그 文化 - 文明 을 접촉하고 흡수할수 있었다 . 그대들이 부럽기만 하다 . 중국 56 개 민족중 유일하게 유대인과 견줄수 있으니까 진짜 월경 민족이다 .’ 고 선망의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 ‘ 구조로서의 월경 ’ 을 조선족 사회를 바라보는 바러미터로 삼는다면 그 포지티브한 조선족의 월경 , 그에 잇따라서 생성 , 탄생되는 모든 ‘ 新 ’ 字 가 부착되는 ‘ 신조선족 ’,‘ 신조선족 生活文化圈 ’, ‘ 신조선족 아이덴티티 ’ 등 전례없는 새로운 境界 를 발견할수 있다 . 이래서 조선족이 직면한 ‘ 민족공동체위기 ’ 를 단지 ‘ 민족공동체 공간의 해체위기 ’ 라는 인식에서만 파악하지 않고 월등 넓고도 고차의 시야에서 그 대안을 모색할수 있게 된다 . 이 과제에 대해 국내나 해외의 유지와 지식인들이 같이 고민하기를 제안하고 싶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