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학
http://www.zoglo.net/blog/jinwenxue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신조선족》월경론

13.조선족에게 정체성은 있는가
2010년 06월 29일 00시 33분  조회:3741  추천:28  작성자: 김문학
 신조선족 월경론(越境论)
13.조선족에게 정체성은 있는가

김문학


   ‘
포스트개조론이래 조선족 지식인들에 의한우리는 누구인가하는 자아동일성인식에 대한 담론이 전례 없이 펼쳐지고 있다. ‘자아동일성인식은 조선족에서는 보통정체성으로 통한다. ‘정체성 문화인류학(심리인류학)에서는아이덴티티(ldentity)’라는 용어로 사용된다.

  
필자도 이하 졸고에서는정체성이란 용어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겠지만 주로는아이덴티티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자 한다. 왜냐면정체성이란 용어는 우선아이덴티티 용어에서 알수 있듯이 서양개념이며정체성으로 내포한 함의를 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솔직히 고백하여 우리가 우리자신에 향해 던져진 질문 – ‘우리는 누구이냐하는 아이덴티티적 의식을 자각적으로 갖춘 때는 사실 그리 오라지 않다. 조선반도에서 대륙에 이주 한뒤, 자신의 의지로 남아서조선족 형성해온 우리의 1,2세들 소수민족의 일개 멤버로 중국국민에 편입되면서중국에서 살아간다는 리자신 대해서 아이덴티티적 사유는 별로 필요하지 않았다. 우리의 선대들의 정신사에서의 아이덴티티적 고민의 흔적은 뚜렷하지 않으며중국에서 사는 조선민족이라는 자아인식이 막연하게 실존했을 뿐이다. 또한 의식이 당연한 것으로 특별히 심각하
사유하거나 의식하지 않아도 중국에서 살아가는데는 지장이 없었다.

  
지식인이면 몰라도 보통 조선족대중들이 아이덴티티에 대해 자각, 사색을 안해도 요소였으며 그보다 살아가는 생존, 생활의 격투가 항상 우선적이였다. 이러한 아이덴티티를 에워싼 민족의식, ‘민족 담론이나 사유에 대한 지식인, 대중의 격차는 지금 현재에도 다름이 없다고 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필자가 위에서 설정한 소제목조선족에게 정체성(아이덴티티) 있는가 이러한 조선족의 대중적인 보편적 사유를 두고 한것이다. 따라서 조선족에게 아이덴티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설정이 아닌 것은 자명한 일이다.

  
조선족 지식계에서 조선족정체성(아이덴티티) 담론하기 시작한 것은 사실 2000년에 들어서서부터다. 그전에 조선족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연구와 담론은 있었지만 명확한아이덴티티 의식의 자각으로 행해진 것은 매우 빈약했다. 일반론적인 조선족 문화의 양상, 이를테면 연변의 鄭判龍선생 선대연구자들이며느리패턴, ‘사과배접목식 문화라는 문학적 비유에 의한 제시는 흥미롭지만 조선족 아이덴티티를 的确(적확) 의식으로 석출함에는 역부족이였다.

  
그리고 하나 지적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문제는정체성담론은 정체성(아이덴티티) 무엇인가 하는 담론이 없이 그냥조선족 문화는 이중성 까닭으로 정체성도 이중성이 아닐수 없다.’ 거치른 유추의 방법으로 유도하는 식은 어딘가 우습꽝스럽기만 하다.

  
아이덴티티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조차도 결여 한채 아이덴티티를 담론하는 태도는 자칫하면경솔함치졸함’, 그리고무지함 질타에서 자유로울수 없을수 있다. 물론 개인의 ()적인 레벨과 교양과 안목에도 관련된 사연임으로 한마디로 그런 지식인에 대한 비난, 비하하기 보다는 그렇게 됐는가 하는 연유를 파는것이 우리 모두들에게 유리롭다고 사료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49. 越境과 月經(김문학) 2010-10-15 45 10619
42 45. “우리”는 엄연한 “他者”-한국과 조선족 2010-10-14 38 7075
41 44.“逆發”적 오리엔탈리즘(김문학) 2010-10-13 56 5983
40 43. 고래싸움에 새우등은 안터진다(김문학) 2010-10-12 57 6557
39 42.”연변사람”과 “안쪽사람”의 比較 2010-10-11 60 7669
38 41. 상실의 시대(김문학) 2010-10-09 34 5634
37 40. 近色比較原理(김문학) 2010-10-08 42 5737
36 39,체험으로서의 “한중일비교문화론” (김문학) 2010-10-05 37 6151
35 37.일그러진 李光洙 표상 (김문학) 2010-10-02 27 7071
34 36.魯迅과 李光洙 (김문학) 2010-10-02 25 5798
33 35.노신은 왜 중국국민성을 비판했는가? 2010-09-24 34 6258
32 34.체험하는 異文化의 時空 (김문학) 2010-09-23 26 4771
31 33. 神은 우리에게 ‘明鏡’을 주었다(김문학) 2010-09-19 23 7196
30 32.海鯨과 鰍魚의 比較論(김문학) 2010-09-16 27 5563
29 31.2050년의 우리는(김문학) 2010-09-14 28 4729
28 30.조선족문화의 波動性 2010-09-13 29 5069
27 29.靑色時代 (김문학) 2010-09-10 30 4852
26 28. 지식인의 무덤 (김문학) 2010-09-07 41 6092
25 26.생존유지주의와 유교로서의 “越境” (김문학) 2010-08-26 33 5125
24 25. 대중들은 “思想”한다 (김문학) 2010-08-23 30 4462
‹처음  이전 1 2 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