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netizin-1 블로그홈 | 로그인
netizin-1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

디지털 정보화 시대, 우리가 반납한 것은
2021년 08월 06일 10시 04분  조회:1123  추천:0  작성자: netizin-1
디지털 정보화 시대, 우리가 반납한 것은

최해선

디지털 정보화 시대는 과연 우리에게 편리만 가져다 줬을까 하는 의문이 요즘 들어 자꾸만 뇌리를 스친다. 코로나19로 언택트의 생활이 일상화 되고 재택의 시간이 길어질 수록 점점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시간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아차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확실하게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 줬지만, 그 이면엔 우리가 모르는 사이 소중한 것을 조금씩 잃어버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1. 편리를 받고 내어 준 것은 사생활

실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활 속의 많은 불편함이 해소됐다. 은행업무나 정부 민원업무도 몇 번의 스크린 터치로 해결이 되고 쇼핑도 몇 번의 터치로 주문한 물건을 익일 날 바로 배송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편리함의 대가로 무엇을 내주었을까? 

며칠 전 포털사이트에서 그릇에 대해 검색한 적이 있었다. 그 후 내가 자주 이용하는 SNS에는 “폴란드 그릇”을 비롯하여 그릇에 관한 광고들이 마치 SNS 친구들이 올린 콘텐츠인 것 마냥 심리스하게 추천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뿐만 아니라 머리 속에 생각하고 있던 어떤 이슈에 대한 콘텐츠도 심심찮게 스크롤 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스마트폰이 독심술이라도 있는 것인가? 내 관심사를 어떻게 알았지? 누군가 나를 감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마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누구나 이런 경험과 생각을 한번쯤 해 봤을 것이다. 

실은 인터넷의 발전으로 우리는 정보 홍수의 국면을 마주하게 된다. 2020년 전 세계에서 생성된 디지털 정보량은 35제트바이트(zettabyte)라고 한다. 이는 전 세계 해변가에 있는 모래 알갱이 수의 57배에 해당되는 숫자다. 앞으로 2년 마다 이 숫자는 2배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각 회사들은 범람하는 정보 속에서 사용자들에게 보다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경쟁력으로 삼고 모바일 기반의 맞춤형 광고를 마케팅 채널로 간주하고 있다. 

이때 개인화된 맞춤형 광고 송출의 기반은 인터넷 사용 기록인 쿠키의 수집이다. 쿠키란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시점에서 서버가 사용자의 기기에 보내 저장되는 텍스트 파일을 일컫는다. 즉 우리가 스크린을 스크롤 하다 어느 화면에서 잠깐 멈췄던 정보, 동영상을 몇 분 보고 나갔는지 어떤 화면에서 정지 버튼을 눌렀는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고 어떤 상품을 구입했는지, 어떤 키워드로 무엇을 검색했는지 등 인터넷 상의 모든 행동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알아내고 의도까지 예측한다. 그러고 그들이 개발한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저격할 만한 콘텐츠나 광고를 송출한다. 

실제로 거대한 영화 플랫폼인 넷플릭스의 성공 신화가 바로 콘텐츠 추천 서비스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용자의 성향과 관심사를 분석하여 좋아할 만한 영화나 TV프로그램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성도를 향상시켰다.

구글이 운영하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도 마찬가지다. 추천 알고리즘의 작동 방법과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해 치밀한 알고리즘 전략으로 사용자들이 보는 동영상의 70%를 추천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자신도 모르게 중독되게 만들어서 유튜브에 락인(Lock-in)되게끔 한다. 

이처럼 편리한 정보와 서비스를 누리는 대신에 우리의 소중한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생활이 무방비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샘이다. 또한 누군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편향된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선택의 권리를 빼앗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2. 내 시간이 저당 잡히고 있다. 

2021년3월25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회지표에 의하면 2020년 한국인의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평일 2.0시간, 휴일 2.3시간으로 집계 되었고 전 국민의 23.3%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20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신체적 활동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기는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우리는 식사할 때도 스마트폰을 보고 친구들과 대화할 때도 수시로 체크한다. 사실 반드시 처리해야 하거나 해결해야 할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확인하고 또 확인한다. 핸드폰이 손에 없으면 온 종일 신경 쓰이고 심한 사람은 불안증세까지 보인다. 

그럼 다들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볼까? 가장 많이 보는 것은 SNS, 메신저, 동영상, 게임 등이다. 인터넷 기업들은 사용자들을 락인시키려고 필사적이다. 일단 사용자들은 해당 서비스에 익숙해 지면 해당 서비스에서 빠져 나오기 힘들고 없으면 불편하고 괴롭기까지 하다. 이렇듯 우리는 신선노름에 도끼자루 썪는 줄 모르고 소중한 시간을 빼앗겨 버린 격이 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우리 생활의 일부분을 편하게 해 준 것은 사실이지만 얻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잃는 것도 있는 법이다. 우리는 어디까지나 물질적인 존재로서 온라인으로는 우리 육체의 욕구를 돌볼 수 없다. 우리의 몸은 적당히 움직여 줘야 하고 우리의 눈은 먼 곳과 가까운 곳을 자주 번갈아 봐 줘야 하며 오감을 적당하게 자극해줘야 정신건강에 이롭다. 

누군가가 기술 발전의 피해는 사용자의 몫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실제로 온라인 상의 각종 콘텐츠들은 무료함과 심심함을 달래주고 고통을 망각하게 하며 SNS를 통해 사회적 인정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지 모르지만 우리 뇌는 이런 것에 대단히 취약하여 우울함에 빠지기 쉽고 의욕이 상실되기 쉽다. 때문에 적당하게 고독을 느낄 줄도 알고 혼자서 시간을 보낼 줄 알아야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럴수록 고도의 자가컨트롤 능력을 키워서 스마트폰의 좋은 것만 취하여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어가는 지혜와 행동력이 가장 필요하지 않을가 생각해 본다. 

모두 잠시 스마트폰을 꺼놓거나 치우고 독서도 좋고 운동도 좋고 명상도 좋으니 실제적으로 육체적 본능과 정신적 본능에 충실한 것을 찾아서 해보자. 

출처 : 동북아신문(http://www.dbanews.com)디지털 정보화 시대는 과연 우리에게 편리만 가져다 줬을까 하는 의문이 요즘 들어 자꾸만 뇌리를 스친다. 코로나19로 언택트의 생활이 일상화 되고 재택의 시간이 길어질 수록 점점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시간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아차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확실하게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 줬지만, 그 이면엔 우리가 모르는 사이 소중한 것을 조금씩 잃어버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1. 편리를 받고 내어 준 것은 사생활

실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활 속의 많은 불편함이 해소됐다. 은행업무나 정부 민원업무도 몇 번의 스크린 터치로 해결이 되고 쇼핑도 몇 번의 터치로 주문한 물건을 익일 날 바로 배송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편리함의 대가로 무엇을 내주었을까? 

며칠 전 포털사이트에서 그릇에 대해 검색한 적이 있었다. 그 후 내가 자주 이용하는 SNS에는 “폴란드 그릇”을 비롯하여 그릇에 관한 광고들이 마치 SNS 친구들이 올린 콘텐츠인 것 마냥 심리스하게 추천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뿐만 아니라 머리 속에 생각하고 있던 어떤 이슈에 대한 콘텐츠도 심심찮게 스크롤 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스마트폰이 독심술이라도 있는 것인가? 내 관심사를 어떻게 알았지? 누군가 나를 감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마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누구나 이런 경험과 생각을 한번쯤 해 봤을 것이다. 

실은 인터넷의 발전으로 우리는 정보 홍수의 국면을 마주하게 된다. 2020년 전 세계에서 생성된 디지털 정보량은 35제트바이트(zettabyte)라고 한다. 이는 전 세계 해변가에 있는 모래 알갱이 수의 57배에 해당되는 숫자다. 앞으로 2년 마다 이 숫자는 2배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각 회사들은 범람하는 정보 속에서 사용자들에게 보다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경쟁력으로 삼고 모바일 기반의 맞춤형 광고를 마케팅 채널로 간주하고 있다. 

이때 개인화된 맞춤형 광고 송출의 기반은 인터넷 사용 기록인 쿠키의 수집이다. 쿠키란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시점에서 서버가 사용자의 기기에 보내 저장되는 텍스트 파일을 일컫는다. 즉 우리가 스크린을 스크롤 하다 어느 화면에서 잠깐 멈췄던 정보, 동영상을 몇 분 보고 나갔는지 어떤 화면에서 정지 버튼을 눌렀는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고 어떤 상품을 구입했는지, 어떤 키워드로 무엇을 검색했는지 등 인터넷 상의 모든 행동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알아내고 의도까지 예측한다. 그러고 그들이 개발한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저격할 만한 콘텐츠나 광고를 송출한다. 

실제로 거대한 영화 플랫폼인 넷플릭스의 성공 신화가 바로 콘텐츠 추천 서비스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용자의 성향과 관심사를 분석하여 좋아할 만한 영화나 TV프로그램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성도를 향상시켰다.

구글이 운영하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도 마찬가지다. 추천 알고리즘의 작동 방법과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해 치밀한 알고리즘 전략으로 사용자들이 보는 동영상의 70%를 추천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자신도 모르게 중독되게 만들어서 유튜브에 락인(Lock-in)되게끔 한다. 

이처럼 편리한 정보와 서비스를 누리는 대신에 우리의 소중한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생활이 무방비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샘이다. 또한 누군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편향된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선택의 권리를 빼앗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2. 내 시간이 저당 잡히고 있다. 

2021년3월25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회지표에 의하면 2020년 한국인의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평일 2.0시간, 휴일 2.3시간으로 집계 되었고 전 국민의 23.3%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20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신체적 활동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기는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우리는 식사할 때도 스마트폰을 보고 친구들과 대화할 때도 수시로 체크한다. 사실 반드시 처리해야 하거나 해결해야 할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확인하고 또 확인한다. 핸드폰이 손에 없으면 온 종일 신경 쓰이고 심한 사람은 불안증세까지 보인다. 

그럼 다들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볼까? 가장 많이 보는 것은 SNS, 메신저, 동영상, 게임 등이다. 인터넷 기업들은 사용자들을 락인시키려고 필사적이다. 일단 사용자들은 해당 서비스에 익숙해 지면 해당 서비스에서 빠져 나오기 힘들고 없으면 불편하고 괴롭기까지 하다. 이렇듯 우리는 신선노름에 도끼자루 썪는 줄 모르고 소중한 시간을 빼앗겨 버린 격이 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우리 생활의 일부분을 편하게 해 준 것은 사실이지만 얻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잃는 것도 있는 법이다. 우리는 어디까지나 물질적인 존재로서 온라인으로는 우리 육체의 욕구를 돌볼 수 없다. 우리의 몸은 적당히 움직여 줘야 하고 우리의 눈은 먼 곳과 가까운 곳을 자주 번갈아 봐 줘야 하며 오감을 적당하게 자극해줘야 정신건강에 이롭다. 

누군가가 기술 발전의 피해는 사용자의 몫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실제로 온라인 상의 각종 콘텐츠들은 무료함과 심심함을 달래주고 고통을 망각하게 하며 SNS를 통해 사회적 인정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지 모르지만 우리 뇌는 이런 것에 대단히 취약하여 우울함에 빠지기 쉽고 의욕이 상실되기 쉽다. 때문에 적당하게 고독을 느낄 줄도 알고 혼자서 시간을 보낼 줄 알아야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럴수록 고도의 자가컨트롤 능력을 키워서 스마트폰의 좋은 것만 취하여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어가는 지혜와 행동력이 가장 필요하지 않을가 생각해 본다. 

모두 잠시 스마트폰을 꺼놓거나 치우고 독서도 좋고 운동도 좋고 명상도 좋으니 실제적으로 육체적 본능과 정신적 본능에 충실한 것을 찾아서 해보자. 

동북아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1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 연집강과 연길(허성운) 2017-11-16 2 3914
20 중국식 침 뱉기(유대식) 2017-11-07 0 1832
19 농산물 안정성과 소비자 인식(김준환) 2017-11-02 1 1579
18 휘청거리는 우리 말 우리 글 (이명수) 2017-10-23 0 1790
17 긍정에너지의 실천론적 루적(리성수) 2017-09-28 0 1500
16 인터넷 캠퍼스 대출에 요주의!(최미란) 2017-09-20 0 1432
15 우리 전통음악의 봄날은 다시 오는가(박영일) 2017-09-14 0 1268
14 긍정에너지의 원론적인 의미(리성수) 2017-09-12 0 1465
13 조선족 왜곡하는 영화들(조영관) 2017-08-31 0 1607
12 연길 빈하공원 ‘감옥장벽’ 철거못할가(리진욱) 2017-08-21 0 1595
11 남한테 불편 주는 운동 삼가해야(김명성) 2017-08-18 0 1364
10 석전경우의 기념비( 장정일) 2017-08-11 2 1548
9 한자 '현지 원음' 표기법이 폐지되어야 하는 6가지 이유(김봉술) 2017-08-10 0 1380
8 우리 아이를 잘 부탁드립니다(모동필) 2017-08-04 0 1530
7 놀줄 아는 사람이 일할줄도 안다(지행) 2017-08-02 0 1473
6 지킬 것과 바꿀 것(리영수) 2017-08-01 0 1318
5 왜 출입국관리사무소의 안내대로 따른 사람이 불이익을 당해야 하나?(강성봉) 2017-07-13 0 1374
4 방학기간 다이어트 적당량 필요(심연) 2017-07-03 0 1205
3 ‘나만이라도 제대로…’(리성수) 2017-06-28 0 1144
2 ‘손님은 신・황제・왕이다’ 에서 느끼는 포용력[리홍매] 2017-06-27 0 1179
‹처음  이전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