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e 블로그홈 | 로그인
김혁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문학 -> 발표된 작품 -> 칼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니스트

용두레우물
2007년 06월 29일 05시 54분  조회:4036  추천:73  작성자: 김혁


. 칼럼 .

 

용두레우물


김 혁
 

 
△ 우물은 끊임없는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우리네 조상들은 우물의 위치를 상당히 중요하게 여겼다. 물맛이 좋아야 복덕을 구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우물을 파거나 칠 때에도 반드시 길일을 택했다.

용두레우물은 두레박이 달린 두렛대가 설치된 우물로 이는 기중기와 같은 지레대의 원리를 리용한 것으로서 고구려 벽화에도 나타날 정도로 유래가 깊다.

함경북도나 평안북도와 같은 지방은 날씨가 추워 겨울에도 얼지 않은 물을 구하려면 깊은 지하수를 찾아야 했는데 긴 줄을 다루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용두레를 고안한 것으로 보인다.

△ 룡정은 조선족들이 이주해온 력사가 아주 긴 고장이다. 19세기 7, 80년대에 조선사람들이 이주해와 살면서 이곳을 용드레촌이라 불렀다.

룡정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우물에서 룡이 날아 올라갔다고 하여 룡정이라고 했다는 설이 있다.

로고를 바친 곳의 길상을 기망(祈望)하는 개척민들의 흥감스러운 전설일테지만 여하튼  이 우물로 말미암아 이곳에 마을이 들어서게 되였다.
고증에 의하면 용두레우물은 1839년부터 1880년사이에 조선이민인 장인석과 박인덕에 의해 발견 되었다 한다. 이 우물은 일찍이 녀진족이 쓰던 우물이였다.  오가는 길손들이 두레박을 빌리는 일이 잦아지자 두레박 즉 용두레를 해놓아 그때부터 용두레우물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 고장 이름도 용두레촌으로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1934년 11월에 용두레촌의 리기성의 발의로 우물을 수선하고 약 2메터 높이의 비석을 세우고 비문에 <<룡정지명기원지정천(龍井地名起源之井泉)>>이라 새겼던 것이다.
광란의 문화혁명시기, 비석은 <<낡은 것을 타파한다>>는 사조에 의해 홍위병들의 손에 산신이 부서져 자취를 감추었고 우물도 메워져 버렸다. 그러다 1986년 룡정인민정부에서 애국주의 교육과 향토애교육의 차원에서 력사문물인 용두레우물을 수건하고 비석을 복원했다.
지금 룡정지명지우물터는 시민들의 휴식과 국외관광객들이 다투어 찾는 유람명소로 부상되였다.

▲ 용두레우물은 룡정의 상징, 이주민들의 애환의 상징물로 고착되였지만 이 유명 우물에 대한 관리는 미비한 점들을 보이고 있다.

우선 <<페부를 찌르는 시원한 천수(天水)>>같다던 그 소문난 우물의 물을 마실수 없다. 우물 아구리에 철판을 대고 자물쇠를 잠근 데서 사시장철 쌉스름한 물이 자작하게 괴여 있었다는 우물물을 볼수 없다. 그러니 진짜 우물보다는 그 무슨 무대세트를 방불케 한다. 관리자에 따르면 우물에 가로 막힌 돌 때문에 우물 밑에까지는 물이 직접 들어오지 못하고 거기에 가설한 지하 20메터 도관을 통해 스위치를 눌러야 우물에 물이 차게 된다고 한다. 그 절차가 번거로워 현재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
시정건설은 해마다 진행되고있지만 룡정지명지 우물에 대한 관리와 개선작업은 확연히 뒤떨어진 상황이다. 따라서 우물주위가 트럼프나 화투를 치는 유한자들이 모여드는 장소로 전락되여 살풍경이다.
<<민족의 력사에 대한 상식과 민속에 대한 리해가 결여하기때문>>이라고 룡정의 각계인사들은 안타까움을 표했다.

민족 문화의 발상지이고 반일민족독립운동의 책원지인 고도(古都) 룡정에서 룡정지명지우물이 가지는 의미는 한낱 갈증을 해소해주는 도구의 의미를 넘어 깊고 크다. 과학적인 규획, 원상태 복구와 보존의 원칙하에 보호와 중시 그 대책이 시급하다.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김학철을 다시 읽다 2015-03-02 20 4963
42 흑백 오스카 2015-02-26 11 3205
41 “윤동주 데이” 2015-02-14 14 4751
40 731 닷컴 2015-02-09 11 3703
39 스크린에 오르는 정률성 2015-02-02 11 3889
38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위에 2015-01-22 13 4035
37 일송정 푸른 솔 2015-01-09 22 3264
36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2015-01-05 13 3793
35 달맞이 꽃(夜來香), 지다 2015-01-03 15 4394
34 나 홀로 집에 2014-12-25 12 4059
33 잔혹 "흑백 스토리" 2014-12-18 12 4091
32 다카쿠라 겐, 천국의 강을 건너다 2014-11-19 46 6305
31 로총각 증후군 2014-09-16 11 2727
30 천재지변 그리고 ... 2014-09-16 10 2887
29 횡단보도 풍경 2014-09-12 11 3423
28 아하! 헤밍웨이 2014-09-12 15 3142
27 [월드컵 別曲- 4]패자만가(敗者挽歌) 2014-07-16 11 3350
26 [월드컵 別曲- 3] 월드컵을 보며 로자를 생각하다 2014-07-15 13 3346
25 닭울음소리 한 가닥 들을작시면 2014-07-14 16 5553
24 [월드컵 別曲- 1] 자책꼴 2014-07-11 13 3580
23 악플러들의 초상화 2014-06-09 20 5485
22 인터넷 마녀사냥 2014-06-06 13 11790
21 악플이라는 독버섯 2014-06-06 20 5031
20 우리들의 딜레마 2007-06-29 73 3969
19 남자의 목젖 2007-06-29 73 4478
18 후생가외(後生可畏) 2007-06-29 73 3948
17 고도를 기다리며 2007-06-29 73 4243
16 월드컵단상(1) 엔돌핀 제조기- 축구 2007-06-29 74 3371
15 월병소고 (小考) 2007-06-29 73 3829
14 용두레우물 2007-06-29 73 4036
13 축배가 2007-06-29 73 3611
12 원앙새 쌍쌍 2007-06-29 76 4318
11 장백산 화산의 폭발 2007-06-29 80 5659
10 거장들의 죽음 2007-06-29 74 4164
9 우보천리 2007-06-29 74 6327
8 령혼의 방 2007-06-29 78 4318
7 사라지는 전통농가 2007-06-29 73 3975
6 귀소본능 2007-06-29 73 3763
5 잃어버린 세대 2007-06-29 73 5625
4 조선족 “야인시대” 2007-06-29 74 4403
‹처음  이전 1 2 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