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e 블로그홈 | 로그인
김혁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포럼 -> 문학칼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니스트

“윤동주 데이”
2015년 02월 14일 13시 19분  조회:4752  추천:14  작성자: 김혁


. 칼럼 .
 

 “윤동주 데이” 


■ 김 혁


올해는 정월 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같은 날로 겹쳤다. 민족의 전통명절과 젊은 이들의 모던한 기념일이 어우러 진것이다. 그런데 이 날은 또 다른 각별한 날이기도 했다.
100여년전 할빈역에서 민족 침탈의 괴수 이토 히로부미를 단죄한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일본이 사형선고를 내린 날인것이다.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산화해 간 안중근 영웅. 하지만 젊은이들은 련인에게 줄 꽃다발이나 쵸콜렛 챙기고 저녁에 함께 할 레스토랑의 음식주문에 바빠 민족의 영령에 대한 관심조차 없다. 그러다 한국에서 한 대학교수의 제안에 의해 2월14일을 안중근 의사를 기억하는 날 “안중근 데이(day)”로 정하자는 움직임이 일었다.
 
민족영웅을 추모하면서 밸런타인데이를 즐기고, 전통명절의 풍속을 이어가니 “일석삼조”의 시너지 효과를 볼수 있다는 참신한 아이디어 였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에서 “애국”, “애족”, “기억”, “존경”, “사랑”등 다양한 의미를 담은 쵸콜렛과 꽃다발을 련인에게 선물하는 밸런타인데이는 왕년보다 더 큰 의미가 있는 날로 안겨 왔다.
 
해외의 동향을 보면서 따라서 떠오르는 생각이 있었다.우리도 이참에 “윤동주 데이”를 만들어 보면 어떨가하는 바램이였다. 구관조(九官鳥)처럼 곧 남을 따라하기의 흉내짓이 아니다.
 
윤동주의 고향에서 태여난 필자로서는 그동안 윤동주의 생애를 장편소설화하는 등 그이에 관한 픽션과 논픽션 작품들을 집필하고 또 각 언론사들에 윤동주 추모 관련 행사보도를 빠치지않고 줄곧 대서특필해 왔었다. 그와중에 윤동주에 대한 기념과 추모가 아직도 미온(微溫)적인데 대해 안타까움과 유감을 머금던차 이번 발렌타이데이날의 참신한 아이디어에서 뒤미처 떠오른 생각이였다.

 연변이 낳은 민족시인 윤동주에 대한 숭모사업은 고향에서 내내 이어졌음에도 그이의 아시아를 넘나드는 위상에 비해 아직 그 열기가 크지 못하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그나마 큰 영향력을 과시했던 권위간행물의 “윤동주문학상”은 10년간 유지되다 마무리 되고 지금은 몇몇 민간단체의 가상스러운 노력에 의해 우리는 윤동주를 때때로 기억하고 있다.
윤동주의 시집, 론문집, 윤동주의 동시비 역시 그들 민간단체에서 펴내고 건립했다. 정부의 지원으로 근년들어 윤동주 생가가 크게 보수 되는 등 반가운 거동이 일고 있지만 해외의 윤동주 언덕, 윤동주 기념관, 윤동주 시비 조성, 윤동주 축제, 윤동주 관련 책자의 출간, 윤동주 뮤지컬과 연극의 개봉등 내내 이어지는 방흥미애 (方兴未艾)의 열기에 비하면 고향인 연변은 아직도 그 숭모사업이 활약상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요즘 세월에는 그무슨 기념일들이 그야말로 소털처럼 많다. 재래로 절기가 부여한 기념일, 자신과 부모와 친지, 친구들과 관련된 대소사의 기념일외에도 왕년에는 듣도보지도 못했던 만천하의 기념일들까지도 모조리 챙기고 지어 없는 기념일까지 만들어가면서 누린다.
기억해야 할 날이 많은것을 나쁘다고 할수는 없다. 문제는 사회가 물질화에 빠져들면서 향락에만 젖어드는 기념일들이 란무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나의 의미로 소중히 보듬는 기념일 대신 우리가 정작 지내고 있는것은 향락주의에 젖어 질펀한 매일매일 이어지는 기념일들이다.
 
때문에 윤동주와 같은 고향을 빛낸 선각자들을 기리는 날이 따로 없음은 부끄러움이요, 응당 이제라도 그 기념일을 챙겨야 한다는것이다.
고향의 터전을 닦고 그를 빛내여 오늘에 이르게 한 이들을 잊지않고 기리는것은 우리들 모두의 책무라고 본다. 이는 우리 삶의 터전인 사회공동체를 지탱하는 핵심가치이자 근본원칙이다. 그 가치를 소중히 할줄 모르고 지어 무감각한 민족은 그로서의 명분과 리유를 찾기 힘들다.
이러한 기념일을 통해 민족을 위해 기꺼이 헌신하하고 산화해 간 그들의 력사적 업적을 제대로 알아야 할것이고 그들에 대한 고마움을 느껴야 할것이다. 그이들의 고귀한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마음을 모아 그 뜻을 잊지 않고 계승발전시켜 우리의 공동체 사회가 목전의 진통을 엎누르고 더 크게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것이다.
 
날을 받아(탄생일, 서거일 혹은...) 경건한 마음으로 그이의 생가나 묘소를 찾거나 그이의 주옥같은 시 한줄을 읊조리는 행위들을 통해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리 모두가 자호할만한 민족시인의 존재를 알고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을 실천하는 기회가 될것이다.

2월16일 오늘이 바로 윤동주가 일제 감옥에서 생체실험의 의혹을 남긴 채 비명에 간 날이다.
97년전, 북간도 명동촌의 춥디 추운 겨울의 마지막 날(12월 30일)에 태여나 북간도의 첫 근대교육기관인 명동학교, 룡정의 미션계 학교들인 광명과 은진중학을 나와 경성의 연희전문에 진학했고 그후 일본류학길에 올랐다가 일제의 마수에 유린당한 시인은 한줌의 재로 고향에 돌아와 그가 즐겨 거닐었던 동산마루에 묻혔다.
스물아홉에 갔지만 그를 낳은 고향, 그가 학문을 닦았던 경성 지어 그를 숨지게 한 “적국” 일본에서 조차 숭모해 마지않고있는 민족의 “시성” 윤동주이다.
천형(天刑)처럼 짊어지고 평생을 살아온 문학적 열망과 민족애로 북간도 오지의 한 문학지망생이 민족 최고의 시인으로 떠올랐으며 그렇게 엮여진 그의 작품은 알알이 진주처럼 값지고 빛나오르고있다.
그리하여 시인이 “하늘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기”를 읊조렸던 룡정의 하늘은 오늘도 맑고 시인이 묻힌 동산 마루 무덤에는 오늘도 "보람처럼 봄풀이 무성"하다.
닥쳐오는 어려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내면서 순수한 마음과 투명한 감수성으로 한 시대를 갈파하고 량심을 노래한 윤동주,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한없이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신의 소명을 받아들이며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간 윤동주, 그런 학우(學友)같은, 형님같은, 애인같은 윤동주를 우리 어찌 잊을수가 있으랴
우리도 “윤동주 데이”를 만들자!

2014년 2월 16일
 
"문화시대" 2014년 3월호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파일 [ 4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2 ]

2   작성자 : 우매한 자를 타독이는
날자:2015-07-13 13:57:08
윤동주씨가 용정에서 초중고중 다니던 1931년부터 1937년까지 연변각지에서는 항일유격대들이 맹활약하던 시기였다.
당시 윤씨 본인과 가족들,그리고 친구들이 이런 소식들을 접하고 있었을거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윤씨는 그런데 참가하지를 않았다.
그의 사촌인 누구더라?..도 멀리 떨어진 남경군관학교에 찾아가서 입학하지 바로 코앞에 있는 항일유격대에는 찾아가지를 않았다.

물론 어린나이에 인생의 일대 선택을 할때는 보통 가정에 큰 변화가 생기거나 하지 않으면 있을수가 없다는덴 동의된다.
그러나 윤씨는 보통인물이 아니잖는가.

우리의 김학철옹은 17세때 독립혁명한답시고 말모르는 중국상해로 떠났다.
나는 지금도 그때 당시 김학철옹 집안에 무슨 특별한 일이 있었댔냐? 혹은 사랑문제때뭉이였나?..하고 궁금했었지만 알고보니 한창 끓는 어린나이에 행해진 좀 충동적인 요소도 있은 행동이였더군..물론 평소부터 당시 원산과 서울의 독립운동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게 그 바탕에 있었겠지만.
14세의 김일성도 독립운동 한답시고 평양에서 걸어서 중국까지 왔었다.

물론 세상의 문학가 사상가들이 다 실제 행동에 참여해야 한다고는 보지 않는다.
로신이나 칼 맑스나 필을 드는 직접 행동파는 아니다.

그러나 나는 어쩐지 자꾸만 윤동주씨에게 그런 유감비스무리한게 있다.
김학철옹도 비슷한 얘기를 햇었는데 나는 시인은 다 비명에 죽고 시인은 다 정신병자여야 하고 시인은 다 끓는 성격의 소유자들이여야 한다고 본다.

1   작성자 : 해외동포
날자:2015-02-15 11:00:52
참 좋은 발상이라고 생각하는데 윤동주의 날을 윤동주가 태어난 날로 하는것이 좋은가요? 아니면 윤동주가 사망한 날로 하는 것이 좋은가요?

이에 대한 설명도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Total : 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김학철을 다시 읽다 2015-03-02 20 4963
42 흑백 오스카 2015-02-26 11 3205
41 “윤동주 데이” 2015-02-14 14 4752
40 731 닷컴 2015-02-09 11 3703
39 스크린에 오르는 정률성 2015-02-02 11 3889
38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위에 2015-01-22 13 4035
37 일송정 푸른 솔 2015-01-09 22 3265
36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2015-01-05 13 3793
35 달맞이 꽃(夜來香), 지다 2015-01-03 15 4395
34 나 홀로 집에 2014-12-25 12 4059
33 잔혹 "흑백 스토리" 2014-12-18 12 4091
32 다카쿠라 겐, 천국의 강을 건너다 2014-11-19 46 6306
31 로총각 증후군 2014-09-16 11 2727
30 천재지변 그리고 ... 2014-09-16 10 2888
29 횡단보도 풍경 2014-09-12 11 3423
28 아하! 헤밍웨이 2014-09-12 15 3142
27 [월드컵 別曲- 4]패자만가(敗者挽歌) 2014-07-16 11 3350
26 [월드컵 別曲- 3] 월드컵을 보며 로자를 생각하다 2014-07-15 13 3347
25 닭울음소리 한 가닥 들을작시면 2014-07-14 16 5554
24 [월드컵 別曲- 1] 자책꼴 2014-07-11 13 3581
23 악플러들의 초상화 2014-06-09 20 5485
22 인터넷 마녀사냥 2014-06-06 13 11790
21 악플이라는 독버섯 2014-06-06 20 5031
20 우리들의 딜레마 2007-06-29 73 3969
19 남자의 목젖 2007-06-29 73 4479
18 후생가외(後生可畏) 2007-06-29 73 3949
17 고도를 기다리며 2007-06-29 73 4243
16 월드컵단상(1) 엔돌핀 제조기- 축구 2007-06-29 74 3372
15 월병소고 (小考) 2007-06-29 73 3829
14 용두레우물 2007-06-29 73 4036
13 축배가 2007-06-29 73 3611
12 원앙새 쌍쌍 2007-06-29 76 4318
11 장백산 화산의 폭발 2007-06-29 80 5659
10 거장들의 죽음 2007-06-29 74 4164
9 우보천리 2007-06-29 74 6327
8 령혼의 방 2007-06-29 78 4318
7 사라지는 전통농가 2007-06-29 73 3975
6 귀소본능 2007-06-29 73 3763
5 잃어버린 세대 2007-06-29 73 5626
4 조선족 “야인시대” 2007-06-29 74 4403
‹처음  이전 1 2 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